top of page

Ways of Recording

정지현 Jihyun Jung, 피정원 Jungwon Phee
16 November - 20 December 2024

앤갤러리는 11월 16일부터 12월 20일까지 정지현, 피정원 작가의 전시 《Ways of Recording》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사진과 회화라는 서로 다른 매체를 사용하여 각자의 고유한 방식으로 사회적인 현상과 개인의 경험을 기록하고 있는 정지현 작가와 피정원 작가의 작품을 통해 인간과 사회의 존재론적 의미를 직면하고 탐구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 인류의 기록 행위는 약 4만년 전 고대 동굴 벽화에서부터 발견된다. 이러한 초기 인류의 기록은 단일한 목적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주술적 행위와 종교적 의식, 공동체의 정보 계승과 커뮤니케이션, 창조적 욕구로 인한 예술적 표현 등의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목적이 결합되어 나타난 복합적 행위로 보여진다. 현재의 우리는 더욱 고도화된 다양한 방법으로 기록 행위를 지속하고 있으며 기록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정의하고 확립하며 자아 세계와 외부 세계를 연결한다. 이러한 인간의 기록적 본성이 내재된 정지현 작가와 피정원 작가의 두 가지 기록법을 통해 인간 개인과 이로 구성된 사회의 존재적 서사성과 의미를 탐구해보고자 한다.

 

정지현 작가는 사진이라는 매체를 통해 도시의 건축적 공간이 소멸되고 생성되는 현장의 서사적인 과정을 기록하고 재구성한다. 도시 공간의 소멸과 생성 사이에서 발현되는 변천 현상들을 거시적 관점으로 바라보면 이는 하나의 순환적인 시스템으로 보여진다. 소멸을 위한 생성, 생성을 위한 소멸과 같은 소모적인 순환의 체계에 작가는 직접 개입하여 끊임없이 변화하는 건축 현장 속에서 일시적으로 현존하고 있는 시간성과 공간성을 담은 장면들을 기록한다. 작가의 작품은 오랜 시간 동안 당연하게 존재했던 공간이 한 순간에 사라져버리는 현상에 대한 상실 또는 허무와 같은 감정이나 무분별한 개발과 파괴에 대한 사회적 비판을 드러내기 보다는 그 대상의 내재된 물성과 현상의 본질을 그대로 마주하며 응시하고 이를 미학적인 관점으로 재해석하여 보는 이에게 전달한다. 이러한 작가의 '기록’은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의 바탕이 되는 건축적 공간이라는 물리적이고 실체적인 대상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적 개념을 재고하고 새로운 관점을 투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정지현 작가는 변모하는 도시의 공간을 작가만의 시선으로 관찰하고 탐험하듯 사진 매체를 다양한 방식으로 실험하고 표현하며 새로운 ‘기록’을 이어가고자 한다.

 

피정원 작가는 내면의 세계를 고찰하며 개인적인 기억과 감정을 추상적 이미지로 시각화한다. 작가의 작품에서 고유하면서도 지배적으로 보여지는 ‘블랙’은 동양 재료인 먹과 서양 재료인 블랙 젯소를 혼합하여 표현한 요소로 한국과 캐나다, 미국에서의 유목적인 삶을 경험한 작가 본인의 자아를 상징한다. 작가는 고유의 ‘블랙’을 바탕으로 시멘트 파우더, 갈퀴드 오일 등을 사용하여 다양한 미디움의 질감과 색의 변조를 실험하고 기록하며 재료의 물질성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블랙’과 함께 작품의 화면을 구성하는 추상적 마티에르는 시간과 공간을 넘나드는 기록의 형태로, 작가의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시각적 매개체이자 작가 본인의 정체성이 내재되어 있다. 작가가 실험한 미디움의 특성에 따라 각각 다채롭게 발현되는 표면의 균열과 흐름, 색감은 작가의 주관적 기억과 감정의 불완전성과 이어진다. 작가는 이를 완전하게 만들기 위해 균열의 표면 위에 재료를 여러 겹으로 덧칠하며 마치 시간이 퇴적되는 듯한 행위를 반복하고 이를 통해 의식과 무의식의 완전함을 추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가의 의도에 따라 작품을 마주하는 관람자는 개인의 기억과 경험에 의해 주체적으로 작품을 재해석하게 되며, 이 같은 과정을 통해 작가의 ‘기록’과 관람자의 ‘기록’이 중첩되고 융합되며 작품의 ‘기록’에 대한 의미는 새롭게 완성될 것이다.

 

시간의 속성에 따라 필수불가결하게 유한한 존재인 인간은 기록하는 행위를 통해 개인 자아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연결하고 삶을 하나의 원형적 서사로 이해함으로써 영속성을 추구하며 존재론적 불안을 해소할 수 있다. 본 전시에서 선보이는 정지현과 피정원, 두 작가의 은유적이고도 미학적인 방식의 기록법을 통해 인간과 사회의 비영속적인 존재론적 의미와 가치를 고찰해보는 기회를 가질 수 있기를 바란다.

  

정지현(b.1983)은 서울 출생으로 중앙대학교 사진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동 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주요 개인전으로는 Reconstruct(송은아트스페이스, 2021), CONSTRUCT(KT&G 상상마당, 2018), Reconstruction Site(스페이스 오뉴월, 2016), Demolition Site(KT&G 상상마당, 2014), Construction Site(송은아트큐브, 2013) 등이 있으며, 서울시립미술관:서울시립 사진미술관 내외부 건립 기록화 콘텐츠 제작(2022~2024), 송은아트스페이스: 송은문화재단 신사옥 도큐멘테이션 커미션(2019~2021),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용산 신사옥 도큐멘테이션 커미션(2017~2018), 김중업건축박물관, 서울특별시 미술관 협의회, KT&G 상상마당, 인천문화재단과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제36회 중앙미술대전, 제5회 대구사진비엔날레 포트폴리오리뷰 우수포트폴리오, 제 6회 KT&G 상상마당 SKOPF 올해의 최종 작가, 제14회 사진비평상을 수상했다.

 

피정원(b.1993)은 뉴욕 Pratt Institute에서 순수미술과 미술사를 공부하였으며 졸업 후 서울과 뉴욕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개인전으로는 From Darkness(공간 형, 서울, 한국, 2024), 검은 여백과 기억의 추상(더 레퍼런스, 서울, 한국, 2024), 합(合): Confluence(서정아트, 서울, 한국, 2022), 피정원: Emontional Layers(성남큐브미술관, 성남, 한국, 2022) 등이 있다. 주요 단체전으로는 DEAR CABINET(서정아트, 서울, 한국, 2023), One Chair is Enough(갤러리 ERD, 서울, 한국, 2023), Instead of a Result, a Process(M5 Gallery, 도쿄, 일본, 2023) 등이 있다. 또한 작가는 2022년 주홍콩한국문화원 전시공모전 전시작가와, 2022 성남문화재단 큐브미술관 청년작가로 선정된 바 있다.

[Eng] N Gallery will hold the exhibition 《Ways of Recording》 from November 16 to December 20, 2024, featuring the works of Jihyun Jung and Jungwon Phee. This exhibition aims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confront and explore the ontological meaning of human beings and society through the works of Jihyun Jung and Jungwon Phee, who record social phenomena and personal experiences in their own unique ways using two different mediums, photography and painting. The act of recording by humanity can be traced back to approximately 40,000 years ago with ancient cave paintings. These early human records were not created for a single purpose but instead emerged as a complex act that combined various social and cultural goals, including shamanistic rituals for survival, religious ceremonies, the passing on of community knowledge, communication, and artistic expression driven by creative desires. Today, we continue to record in more sophisticated and diverse ways, using these records to define and establish our own existence, while connecting the inner self to the external world. This exhibition seeks to explore the existential narratives and meanings of the individual and the society they form through the two distinct methods of recording by Jihyun Jung and Jungwon Phee. Jihyun Jung records and reconstructs the narrative process of the destruction and creation of architectural spaces in the urban environment through the medium of photography. When viewed from a macro perspective, the phenomena of transformation that emerge between the destruction and creation of urban spaces can be seen as a cyclical system. He directly intervenes in the system of destructive cycles, such as creation for dissolution and dissolution for creation, and records scenes that capture the temporality and spatiality that are momentarily present in the constantly changing architectural landscape. The artist’s work confronts and gazes directly at the inherent materiality and essence of the subject of the phenomenon, reinterpreting it from an aesthetic perspective and conveying this to the viewers, rather than expressing emotions such as loss or nihilism in response to the sudden disappearance of spaces that had long existed, or offering social criticism of reckless development and destruction. This way of ‘recording’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the conventional perceptual concept of architectural space-a physical and tangible subject that forms the foundation of the reality we live in-and to project new perspectives onto it. Jihyun Jung observes the transforming urban spaces through his unique perspective, experimenting with and expressing the photographic medium in various ways, aiming to continue creating new ways of 'records’. Jungwon Phee contemplates the inner world and visualizes personal memories and emotions through abstract imagery. The ‘black’ that appears mainly and uniquely and in his work is an element created by mixing Eastern ink with Western black gesso, symbolizing the artist's own identity formed through his nomadic life experience in Korea,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Based on this signature 'black,' the artist experiments with and documents the textures and color variations of different mediums, using materials like cement powder and Galkyd oil, while continuously exploring the materiality of these substances The abstract matière that composes the surface of the artwork, along with the 'black,' serves as a visual bridge connecting the past and present of the artist’s life. It embodies the artist's identity and acts as a medium through which their personal history is interwoven with the present. The cracks, flows, and colors on the surface, which vary depending on the mediums used, resonate with the subjectivity of the artist’s memories and emotions-imperfect and ever-changing. In an effort to make these imperfections whole, the artist repeatedly layers materials over the cracks, as though time itself were sedimentary. Through this, the artist seeks completeness in both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artist's intention, viewers who engage with the artwork will reinterpret it subjectively, drawing on their own memories and experiences. Through this process, the 'record' of the artist and the 'record' of the viewer will overlap and merge, ultimately creating a new meaning for the 'record' within the artwork. As human beings, who are inevitably finite due to the nature of time, we can connect our past, present, and future through the act of recording, and by understanding life as a cyclical narrative, we seek permanence and can alleviate our existential anxiety. Through the metaphorical and aesthetic methods of recording presented by Jihyun Jung and Jungwon Phee in this exhibition, we hope viewers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contemplate the impermanent existential meaning and value of humanity and society. Jihyun Jung (b. 1983) was born in Seoul and received his Bachelor’s and Master’s degrees in Photography from Chung-Ang University, where he also completed his doctoral coursework. His major solo exhibitions include Reconstruct (SONGEUN Art Space, 2021), CONSTRUCT (KT&G Sangsangmadang, 2018), Reconstruction Site (Space O'NewWall, 2016), Demolition Site (KT&G Sangsangmadang, 2014), and Construction Site (SONGEUN Art Cube, 2013). He has worked on various projects, such as the construction documentation for the Seoul Museum of Art and the Seoul Museum of Art : Photography (2022–2024), the documentation of the SONGEUN Cultural Foundation’s new building (2019–2021), and the Yongsan headquarters for Amorepacific Museum (2017–2018). He has received several awards, including the 36th Central Art Exhibition, the 5th Daegu Photo Biennale Portfolio Review Outstanding Portfolio, the 6th KT&G Sangsangmadang SKOPF Artist of the Year, and the 14th Photo Criticism Award. Jungwon Phee (b. 1993) studied Fine Arts and Art History at Pratt Institute in New York. After graduating, He has been working in Seoul and New York. His major solo exhibitions include From Darkness (Space Hyeong, Seoul, 2024), The Black Margin and the Abstraction of Memory (The Reference, Seoul, 2024), Confluence (Seojeong Art, Seoul, 2022), and Emotional Layers (Seongnam Cube Art Museum, Seongnam, 2022). His major group exhibitions include DEAR CABINET (Seojeong Art, Seoul, 2023), One Chair is Enough (Gallery ERD, Seoul, 2023), and Instead of a Result, a Process (M5 Gallery, Tokyo, Japan, 2023). He was selected as an exhibiting artist in the 2022 Hong Kong Korean Cultural Center Exhibition Competition and as a young artist at Seongnam Cube Art Museum of Seongnam Cultural Foundation in 2022.

FLOOR PLAN
11월 전시_floor plan.png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34.
35.
36.
37-44.

Jihyun Jung, Panel #5322, 2024, Silkscreen on Pigment Print, 90 x 70 cm
Jihyun Jung, Construct 010_5652, 2017, Pigment Print, 95 x 125 cm
Jihyun Jung, Construct 02_5098, 2017, Pigment Print, 95 x 125 cm
Jihyun Jung, Construct 02_5129, 2017, Pigment Print, 95 x 125 cm
Jihyun Jung, Reconstruct 201_5519, 2020, Pigment Print, 180 x 135 cm
Jihyun Jung, Demolition Site 01 Inside, 2013, Pigment Print, 120 x 160 cm
Jihyun Jung, Demolition Site 03 Outside, 2013, Pigment Print, 120 x 160 cm
Jihyun Jung, Cut slope 6125#33#36, 2022, Silkscreen on Pigment Print, 190 x 140 cm
Jihyun Jung, Reconstruction Site 10, 2015, Pigment Print, 140 x 180 cm
Jihyun Jung, Reconstruct 101_4911, 2020, Pigment Print, 125 x 95 cm
Jihyun Jung, Reconstruct 202_4917, 2020, Pigment Print, 125 x 95 cm
Jihyun Jung, Panel #5073, 2024, Silkscreen on Pigment Print, 60 x 40 cm
Jihyun Jung, Panel #5076, 2024, Silkscreen on Pigment Print, 60 x 40 cm
Jungwon Phee, Untitled: The Black Path CCCXLIX-CCCLXVII, 2024, Oil on canvas, 162.2 x 130.3 cm
Jungwon Phee, Untitled: The Black Path CCCXLVIII, 2024, Oil on canvas, 130.3 x 193.9 cm
Jungwon Phee, Untitled: The Black Path CCCXXVIII, 2024, Oil on canvas, 90.9 x 72.7 cm
Jungwon Phee, Archival Painting, 2024, Oil on canvas, 30 x 30 cm

WORKS
Cut slope 6125#33#36_Silkscreen on Pigment Print_190x140cm_2022,  컷슬로프 #6125#33#36_피그먼트 프린

Jihyun Jung

Cut slope 6125#33#36, 2022

613.Untitled_The Black Path CCCXLIX(349), 162.2 x 130.3 cm, 2024, oil on canvas_lowsize.pn

Jungwon Phee

Untitled: The Black Path CCCXLIX, 2024

Panel #5073_Silkscreen on Pigment Print_60x40cm_2024.jpg

Jihyun Jung

Panel #5073, 2024

Panel #5076_Silkscreen on Pigment Print_60x40cm_2024.jpg

Jihyun Jung

Panel #5076, 2024

621.(NUMBERING 12)Untitled_The Black Path CCCLVIII(358), 162.2 x 130.3 cm, 2024, oil on ca

Jungwon Phee

Untitled: The Black Path CCCLVIII, 2024

641.Untitled_The Black Path CCCLXI(361), 162.2 x 130.3 cm, 2024, oil on canvas_lowsize.png

Jungwon Phee

Untitled: The Black Path CCCLXI, 2024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