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서울대 교수직 떠난 직후 화가가 그린 ‘빨간 눈 자화상’ 의미는?

길들여지지 않는, 분노는 나의 힘
아트선재센터 ‘서용선: 내 이름은 빨강’전

가지런한 도로 위를 나란히 달리는 버스. 그 안에는 좌석들이 줄지어 놓여 있고, 승객들이 차곡차곡 앉아 어디론가 떠나고 있습니다. 버스의 위로는 동그라미가 질서정연한 전광판, 코카콜라 광고판이 보이지만 검은 무늬가 시선을 왼쪽으로 흐르게 만들고 있죠. 우리의 눈은 이 그림에서 가장 큰 형체, 벌거벗은 붉은 사람을 만나게 됩니다.

이 사람은 마치 도시의 그 모든 풍경 밖에 서서 ‘아웃사이더’인 것처럼 굳은 채 오른쪽을 응시하고 있습니다. 가지런한 도시의 질서 속에 도저히 자신을 담을 수 없다는 것처럼 말이죠. 그의 오른쪽 아래 또 다른 화려한 색깔의 인물도 버스 사이를 가로지르며 야성적인 에너지를 뿜어냅니다. 서용선 작가(72)가 1989년, 1991년에 걸쳐 그린 ‘도시-차 안에서’입니다.

서용선의 1980년대 초반부터 최근 작품까지 70여 점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는 ‘서용선: 내 이름은 빨강’이 서울 종로구 아트선재센터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그간 서용선은 ‘단종 애사’의 작가, ‘역사화’를 그린 작가 등 장르와 소재를 중심으로 읽히곤 했는데, 이 전시는 그런 도식적인 구분을 벗어나 조형 언어 자체를 돌아보자는 취지를 갖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 전시장 1층에 가면 그가 1980년대부터 그린 도시 풍경을 먼저 마주하게 되는데요. ‘도시-차 안에서’를 비롯해 ‘숙대 입구 07:00-09:00’(1991년), ‘도심’(1997-2000년), ‘버스 속 사람들’(1992년)처럼 큰 캔버스에 과감하게 풀어낸 인간 군상을 즐길 수 있습니다.

이 그림들 속에서 찾을 수 있는 공통점은 격자무늬 속 불편하게 서 있는 사람들의 모습입니다. 공간을 사각형, 마름모로 균일하게 구획 지어 버리는 격자 속에서 다양한 형태를 지닌 개인들은 비좁은 골목에서 터져 나올 듯하거나(도심), 좀비처럼 격자 사이를 조심조심 밟고 지나갑니다(숙대 입구).

그는 왜 이런 도시 풍경에 주목했을까요? 이 무렵 작가는 서울대 강사로서 생활을 병행하며 미아리에서 정릉, 숙대입구, 총신대역, 낙성대 등으로 이동하는 버스와 지하철에서 도시 풍경을 관찰했다고 합니다. 1980년대 말과 1990년대는 서울이 고속 성장을 하며 강남이 개발되고 도시가 빠르게 형성됐던 시기이기도 합니다.

불과 30~40년 전만 해도 전쟁으로 잿더미가 됐던 서울은 거짓말처럼 화려하고 깔끔한 모습을 갖춰가기 시작했습니다. 어릴 적 미아리 공동묘지 위에 세워진 학교에 다니며 전쟁으로 사체와 뼈 더미를 보았던 기억이 채 지워지지 않았는데도 말이죠.

당시 포화상태가 된 미아리 공동묘지가 망우리로 이전하면서 포크레인으로 시신을 파내고, 학교 운동장 한쪽에는 뼈가 쌓여 있는 모습을 작가는 목격했다고 합니다.

그런 땅 위에 깔끔한 보도블록과 반듯한 빌딩들, 질서 정연한 도로가 놓이며 서용선의 도시 풍경은 묻습니다. 가지런한 격자무늬가 과연 그 모든 것을 정리할 수 있겠느냐고요.
bottom of page